열사정보 > 학생열사
강경대
91년 4월 24일 상명여대의 학자집회를 지지 연설을 하고 돌아오던 박광철 총학생회장이 불법연행되자, 명지대 학생들은 즉각적으로 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경찰은 총학생회장의 석방···
고재욱
총학생회 사회부장으로 역임시 학교측의 기만적인 태도에 혈서를 쓴 후 상처가 깊어 병원에서 치료 중 경찰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9명의 동지들과 함께 구속되어 출소한 동지는 복적 투쟁···
곽현정
곽현정 동지는 건대항쟁에 참여하여 구속된 후, 115일만에 출소(징역1년6월, 집행유예 2년)하였다. 구속 중 갖은 폭행과 고문으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려 1987년 봄학기와 가을학···
권희정
성신여대 총학생회는 1996년 ‘예결산안 공개’, ‘등록금 소위원회 재개’ 등을 요구하며, 학원자주화투쟁을 시작하였다. 이에 학교측이 학생들의 요구는 외면한 채 학생들에게 위협을 ···
기혁
어린 나이에 부친이 통혁당 재건사건으로 복역하는 일을 겪었지만, 꿋꿋하게 자라 전남대 의대에 입학하였던 기혁 동지는 부친이 복역 중이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이해하는 주위의 사람들의 ···
김귀정
김귀정 동지는 노점상으로 어려운 생활을 꾸려나가는 가족의 현실 속에서 악착같은 노력이 결실을 맺어 대학 입학 후 「심산연구회」 활동을 통해 조국과 민중을 고민하는 책임있는 운동가로···
김기훈
김기훈 동지는 87년 역사교육과에 입학하여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청주사대 수호투쟁에 앞장서 싸우다 유기정학을 받은 이후 학교와 조국에 대한 사랑이 더욱 깊어갔다. 꾸미지 않은 소탈···
김두황
김두황 동지는 유복한 집안의 3남 3녀중 3남으로 태어나 1980년 고대 정경계열에 입학하여, 항상 명랑하고 매사에 성실하여 주위의 사랑을 받았다. 학내활동은 자신감을 가지···
김상진
75년 4월 학원자율화 문제와 동아일보의 언론자유 문제로 인해 학생총회와 시위가 벌어지고, 4월2일에 이르러서는 박정희정권의 온갖 죄악이 농과대학 학생회 명의의 선언문에 낱낱이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