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민주화운동사』 발간
『전북민주화운동사』 발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분단과 전쟁, 독재의 질곡을 거치며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격변의 소용돌이 속에 혼돈과 모색의 시기를 지나왔다. 이 같은 시기에 정치․경제․사회 등 각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할 수 있었던 주요한 힘은 반세기에 걸쳐 치열한 투쟁을 전개해온 민주화운동에서 나왔다.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은 무엇보다 민주화운동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를 향한 것이며, 또 동시대인이면서도 민주화운동의 밖에 있던 이들을 향한 것이기도 하다. 정당한 기억의 공동체를 확산해가는 것은 곧,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한 공동체가 확대되는 길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민주화운동 역사 정리는 민주화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던, 안에 있는 이들을 향한 것이기도 하다.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자기학습 과정인 동시에 내적 성찰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전북민주화운동사'는 1948년 남한 정부 수립 이후 전북지역 민중이 끊임없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은 지역이 보존해야 할 핵심적인 문화유산이며, 이는 곧 세계의 문화와 맞닿는 통로이기도 하다. '전북민주화운동사' 발간 작업은 2005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추진한 ‘전북지역 민주화운동 관련 기초자료 조사 작업’을 기반으로 2011년과 2012년 두 해에 걸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북민주화운동사'는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제1공화국에서 제3공화국 시기까지 전개된 전북지역의 민주화운동을 기술하였다. 제2부에서는 1972년부터 박정희가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1979년까지 유신체제기에 전북지역에서 전개된 민주화운동을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1980년부터 1992년까지 전북지역에서 전개된 학생과 재야 세력 중심의 반독재민주화투쟁을 기술하였다. 제4부에서는 1980년부터 1992년까지 전북지역에서 전개된 각 부문운동, 즉 농민운동, 노동운동, 종교·인권운동, 교육운동, 문화예술운동, 여성운동 등을 다루었다.
붙임1. 전체 목차
• 지역민주화운동사 연구총서 발간에 부쳐 / 5
• 서문 / 7
• 총론 / 17
제1부 1950~1960년대의 민주화운동
제1장 이승만 정권과 4월혁명 31
제1절 이승만 정권의 반공체제 구축 / 31
제2절 4월혁명 / 36
제3절 4월혁명 직후 대중운동의 확산 / 48
제4절 전북지역 4월혁명의 의의와 한계 / 60
제2장 1960년대의 반독재민주화투쟁 65
제1절 1960년대 전반기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65
제2절 1960년대 후반기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69
제2부 유신체제기의 민주화운동
제1장 유신체제의 성립과 민주주의 말살 79
제1절 유신체제의 성립 / 79
제2절 민주주의 말살 / 84
제2장 유신체제 전반기의 유신반대투쟁(1972. 10~1975. 4) 91
제1절 전주고 학생들의 비상계엄 반대시위 / 91
제2절 신·구교를 중심으로 한 저항의 확산 / 92
제3절 대학생들의 유신반대투쟁 / 94
제3장 유신체제 후반기의 유신반대투쟁(1975. 5~1979. 12) 97
제1절 긴급조치 9호 발동과 유신반대투쟁 탄압 / 97
제2절 신·구교계의 저항과 학생운동세력의 형성 / 105
제3절 학생운동의 성장 / 108
제4장 민중운동의 성장 121
제1절 농민운동 / 121
제2절 노동운동 / 125
제3부 1980년대의 반독재민주화투쟁
제1장 ‘민주화의 봄’과 광주학살 진상 규명투쟁 133
제1절 ‘민주화의 봄’의 도래 / 133
제2절 5·17쿠데타와 광주학살 진상 규명투쟁 / 146
제2장 전두환 정권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165
제1절 전두환 정권의 지배정책 / 165
제2절 1980년대 초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174
제3절 유화국면 이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177
제4절 2·12총선과 개헌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182
제5절 개헌 정국하의 직선제개헌투쟁 / 189
제3장 6월민주항쟁 201
제1절 박종철 고문사망 사건과 민주대연합 / 201
제2절 6월민주항쟁의 전개 / 215
제3절 6·29선언 이후 대선 국면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235
제4절 6월민주항쟁의 의의 / 241
제4장 노태우 정권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243
제1절 노태우 정권의 공안통치 / 243
제2절 통일운동의 대두 / 246
제3절 1989년 1차 공안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251
제4절 2차 공안정국하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261
제5절 민주화운동의 변화와 새로운 흐름 / 265
제4부 각 부문에서의 민주화운동
제1장 농민운동 271
제1절 1980년대 개방농정과 전북지역의 농촌 상황 / 271
제2절 농민 대중투쟁의 진전(1980~1984년) / 274
제3절 농민대중의 자주적 진출과 투쟁의 전면화(1985~1988년) / 284
제4절 농민운동의 조직통일과 UR협상투쟁(1989~1992년) / 320
제5절 1980년대 전북지역 농민운동의 특징과 의의 / 333
제2장 노동운동 337
제1절 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 337
제2절 민주노조운동의 태동 / 340
제3절 노동운동의 확산과 전라북도 노동조합연합회의 결성 / 355
제4절 전북지역 노동운동의 성격과 의의 / 370
제3장 종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375
제1절 천주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375
제2절 개신교계의 반독재민주화투쟁 / 388
제4장 교육계·학계의 민주화운동 397
제1절 교육민주화를 위한 교사운동의 태동 / 397
제2절 전교조 출범 이후의 교육민주화운동 / 411
제3절 학계의 민주화운동 / 426
제5장 문화예술운동 437
제1절 1980년 이전 전북지역의 문화예술운동 / 437
제2절 1980년대 전반기의 문화예술운동 / 440
제3절 1987년 이후의 문화예술운동 / 447
제4절 문화예술운동의 새로운 모색 / 460
제6장 여성운동 463
제1절 여성운동 복구 이전의 혼란기 / 463
제2절 지역여성운동의 전개과정 / 465
제3절 부문별 지역여성운동 / 489
제4절 전북지역 여성운동의 의의 / 496
• 참고문헌 / 499
• 찾아보기 / 507
<집필진 소개>
김의수 전북대 교수, 철학
이성호 전북대 강사, 사회학
김수돈 월간 『열린전북』 기자
이광재 소설가
송병주 지역농업연구원 이사장
전준형 천주교 정의구현 전주교구사제단 사무국장
노현정 전북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