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회소식

『기억과 전망』41호(2019년 겨울호)를 발간했습니다.

『기억과 전망』41호(2019년 겨울호)를 발간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는 12월 23일(월) 민주주의 관련 전문학술지 (KCI 등재학술지)
 『기억과 전망』겨울호 (통권 41호)를 발간했습니다. 『기억과 전망』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술 담론과 연구성과 발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연 2회 발간되는 사업회 대표 학술지입니다. 

『기억과 전망』41호(2019년 겨울호)

촛불 3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번 41호 특집의 주제는 <‘탄핵촛불’의 다양성>입니다. 

첫 번째로 수록된 특집 논문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임미리)는 촛불집회 당시 발생했던 폭력-비폭력 논쟁을 새롭게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 촛불집회가 평화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참여주체의 비폭력뿐만 아니라 공권력의 법질서 준수로 인해 폭력 자체가 불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보수의 균열로 비폭력, 준법, 평화가 가능해 공간은 광장을 시민들의 축제의 장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한 편 광장을 준법시민의 온건한 목소리에 한정짓고 노동자, 농민의 생존권을 건 투쟁, 도시하층민 등 ‘비시민’을 배제하는 논리로도 작동했다고 주장합니다. 다만 다양한 깃발의 등장, 여성주의 전선의 등장은 다양한 균열이 공존과 접합할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고 분석합니다.

두 번째 특집 논문은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엄은희·박준영(서울대))는 촛불집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한 여러 주체들 가운데 해외의 재외동포, 특히 인도네시아의 재외동포와 그 조직 ‘촛불행동JKT’에 주목한 글로서 이들의 참여와 조직화의 과정을 ‘풀뿌리 사회운동’, 원거리 민족주의 그리고 세계시민되기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이외에도 41호에는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김영순), 「4.16 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이현정),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박철),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해금 전후(사)의 역사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론)」(허민),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전누리)등 5편의 일반논문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번 41호에는 양길승 원진직업병관리재단 이사장의 회고록도 눈에 띕니다. 학생운동을 거쳐 평생을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그리고 시민운동에 헌신해온 양 이사장의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은 한 운동가의 치열한 삶을 담아낸 역사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과정에서 그가 동료들과 함께 만들고 이끈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노동과건강연구회, 원진직업병관리재단, 녹색병원 등의 설립 배경이 잘나와 있어, 한국의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줍니다.

학술지 『기억과 전망』41호의 내용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https://www.kdemo.or.kr/)와 한국민주주의연구소 (http://ikd.kdemo.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자료회원이 되시면『기억과 전망』을 포함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연간 발행도서를 발송해드립니다. 자료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회비(연 20,000원/신한 320-05-03515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입금해주시면 됩니다. 회원가입 및 회비입금을 하셨다면 메일(memory@kdemo.or.kr) 혹은 전화(031-361-9588)로 확인요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_오제연

<특집 ‘탄핵촛불’의 다양성>
▪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_임미리
▪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_엄은희・박준영

<일반 논문>
▪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_김영순
▪ 4.16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_이현정
▪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 _박철
▪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 해금 전후(사)의 역사 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론) _허민
▪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 _전누리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 _양길승

<서평>
▪세대, 한국형 위계 구조의 핵심 차원(이철승. 2019.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_이상직




공공누리 정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