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과 전망』41호(2019년 겨울호)를 발간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는 12월 23일(월) 민주주의 관련 전문학술지 (KCI 등재학술지)
『기억과 전망』겨울호 (통권 41호)를 발간했습니다. 『기억과 전망』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술 담론과 연구성과 발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연 2회 발간되는 사업회 대표 학술지입니다.
『기억과 전망』겨울호 (통권 41호)를 발간했습니다. 『기억과 전망』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술 담론과 연구성과 발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연 2회 발간되는 사업회 대표 학술지입니다.
촛불 3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번 41호 특집의 주제는 <‘탄핵촛불’의 다양성>입니다.
첫 번째로 수록된 특집 논문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임미리)는 촛불집회 당시 발생했던 폭력-비폭력 논쟁을 새롭게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 촛불집회가 평화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참여주체의 비폭력뿐만 아니라 공권력의 법질서 준수로 인해 폭력 자체가 불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보수의 균열로 비폭력, 준법, 평화가 가능해 공간은 광장을 시민들의 축제의 장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한 편 광장을 준법시민의 온건한 목소리에 한정짓고 노동자, 농민의 생존권을 건 투쟁, 도시하층민 등 ‘비시민’을 배제하는 논리로도 작동했다고 주장합니다. 다만 다양한 깃발의 등장, 여성주의 전선의 등장은 다양한 균열이 공존과 접합할 가능성 역시 보여주었다고 분석합니다.
두 번째 특집 논문은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엄은희·박준영(서울대))는 촛불집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한 여러 주체들 가운데 해외의 재외동포, 특히 인도네시아의 재외동포와 그 조직 ‘촛불행동JKT’에 주목한 글로서 이들의 참여와 조직화의 과정을 ‘풀뿌리 사회운동’, 원거리 민족주의 그리고 세계시민되기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이외에도 41호에는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김영순), 「4.16 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이현정),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박철),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해금 전후(사)의 역사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론)」(허민),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전누리)등 5편의 일반논문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번 41호에는 양길승 원진직업병관리재단 이사장의 회고록도 눈에 띕니다. 학생운동을 거쳐 평생을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그리고 시민운동에 헌신해온 양 이사장의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은 한 운동가의 치열한 삶을 담아낸 역사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 과정에서 그가 동료들과 함께 만들고 이끈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노동과건강연구회, 원진직업병관리재단, 녹색병원 등의 설립 배경이 잘나와 있어, 한국의 보건의료운동과 노동자건강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줍니다.
학술지 『기억과 전망』41호의 내용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https://www.kdemo.or.kr/)와 한국민주주의연구소 (http://ikd.kdemo.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자료회원이 되시면『기억과 전망』을 포함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연간 발행도서를 발송해드립니다. 자료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회비(연 20,000원/신한 320-05-03515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입금해주시면 됩니다. 회원가입 및 회비입금을 하셨다면 메일(memory@kdemo.or.kr) 혹은 전화(031-361-9588)로 확인요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_오제연
<특집 ‘탄핵촛불’의 다양성>
▪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_임미리
▪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_엄은희・박준영
<일반 논문>
▪ 한국의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로의 우회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_김영순
▪ 4.16교실 존치 투쟁과 새로운 장소성의 생성 : 피해자성의 기억론을 넘어 인격성의 기억론을 향하여_이현정
▪ 1980년대 한국 기독노동자와 노동운동 : 한국기독노동자총연맹(기노련)의 형성과 역할 _박철
▪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 : 해금 전후(사)의 역사 인식과 항쟁 이후의 문학(론) _허민
▪ 고등학생운동 참여자의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운동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과 그 영향 _전누리
<회고록>
▪녹색병원의 꿈 _양길승
<서평>
▪세대, 한국형 위계 구조의 핵심 차원(이철승. 2019.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_이상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